
부동산 거래 필수 확인 서류 등기부 등본이 빠질 수 없죠
뭐든 간편해지고 신속히 확인이 가능해지는 시대이다 보니 많은 분들이 인터넷 등기소에서 쉽게 열람하시는데요, 한번 열람할 때마다 소액이긴 하지만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부동산에서는 손님을 안심시키기 위해, 아니면 혹시 모를 중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같은 등기부 등본을 여러 번 열람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티끌 모아 태산이라고.. 반대로 적은 수수료가 쌓이면 그것 또한 큰 지출이라 무시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 준비한 포스트는 등기부 등본을 무료로 열람하는 방법입니다.
바로 하루 10회 무료 열람 가능한 사이트 "디스코"입니다.
비록 하루 10회으로 제한적이긴 하지만 하루 한번 700원 x 10회의 지출이 절약된다면 굳이 마다할 필요가 없겠죠?
사실, 이전부터 디스코를 통해 무료 열람이 가능하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서비스 가능한 지역이 수도권으로 굉장히 제한적이었습니다.
지방은 뭐... 기대도 할 수 없었죠..
수도권을 중심으로 지방으로 서비스 지역을 점점 늘려 간다는 계획이었기에, 얼른 많이 지역도 이 무료 열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를 기다리고 있었죠.
2~3주 전쯤 제가 사는 지역을 확인해봤을 때는 등기 확인이 가능한 매물이 거의 없었는데,
오늘 다시 들어가 봤더니, 가능한 건물들이 많이 늘어났네요 점점 더 늘어나길 기대해 봅니다.
그럼 무료 열람 방법을 보겠습니다. 먼저 디스코 접속이 필수적이겠죠?

접속하시고, 회원 가입을 해주셔야 합니다.
하루 10회라는 제한이 있기에 계정관리가 필요하겠죠 ?
회원가입 후에 로그인을 하시면 첫 메인 화면은 강남지역으로 잡혀 있습니다.
화면의 거의 대부분이 지도로 표기되어 이게 뭔가 싶기도 한데, 주요 메뉴들은 상단에 아주 심플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검색하면 해당 지역이 표기되는데요 원하시는 매물을 클릭하시면 오른쪽에 그 매물에 대한 설명이 표기됩니다.
실거래가, 매물, 경매, 토지, 건물, 등기 순으로 표기되는데 지방이라 그런지 아직 비어 있는 정보들이 많습니다.
이 정보들도 차차 업데이트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상단에 제일 오른쪽에 있는 등기를 누르면 스크롤이 등기 파트로 이동하고 화면에 등기 열람이라는 부분이 보입니다.
등기 열람을 눌러 주면 확인창이 나옵니다.


발급하기를 누르면 등기부 등본 열람이 가능합니다.
발급 횟수를 저렇게 카운트해서 하루 10회를 관리하네요.
디스코를 통해서 열람하게 되면 등본에도 기존 인터넷 등기소에서 열람할 때와 같이 열람용이라는 문구와 함께 디스코 로고가 같이 인쇄됩니다.

소유자 및 근저당 설정 여부 확인하는 용도로 쓰는 것이라면 잘 활용하여 기존 수수료를 많이 절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등기부 등본을 어딘가 제출해야 한다면 그 용도에 맞게 정식으로 인터넷 등기소에서 제출용으로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무료로 제공해주는 서비스라 좋기는 한데 공신력이 있는 기관인 건지, 등기부 등본 내용은 틀림이 없는 건지 아직 반신반의합니다.
저 또한 실제 계약 전에는 인터넷등기소를 통해 수수료를 내고 열람을 한 정보로 최종 확인하는데요.
당분간은 중복으로 확인해보면서 등기부 내용을 확인해 볼 생각입니다.
무료 서비스를 이용했다가 행여라도 실제와 다른 내용으로 안내를 해버린다면 큰일이겠죠.
'부린이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보물권 - 담보 제도의 의의/종류/특질 (0) | 2020.04.22 |
---|---|
전세권의 효력! 효력이 미치는 범위 (0) | 2020.04.21 |
부동산 가압류란? (0) | 2020.04.07 |
오피스텔 신탁 등기 알아보기 (0) | 2020.04.05 |
등기부 등본 해석하기 예시 - 가압류, 근저당설정, 전세권설정 (0) | 2020.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