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사는 단순히 이삿날 사람과 짐이 장소를 옮기는 것이 아니라 사전 준비해두어야 할 절차가 많이 있습니다. 「아! 깜빡했다!」를 막기 위해서 놓치기 쉬운 사전 준비 및 필요 사항 리스트를 만들어 체크하면 바쁜 이사 당일 한결 편하게 이사에 집중하실 수 있습니다.
냉장고 식품은 계획적으로 소비하기

1. 냉장고(특히 냉동고)의 것을 빨리 처분한다.
냉장고안에 있는 냉장/냉동이 필요한 식품 등은, 이사 업자에 따라서는 운반해 주지 않는 곳도 있습니다. 자력으로 운반하는 경우도 충분한 보냉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계절에 따라 식품의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차가운 보온이 필요한 것은 계획적으로 소비해야 합니다.
2. 현거주지의 퇴거 예정일(계약 만료일) 예약 및 연락
임대차 계약이 종료 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계약 만료 1개월 이상 전에 임대인측에 계약 만료 의사를 전달해야 합니다. 또 퇴거 후에는 임대인 측과 보증금 반환 일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퇴거 후 임대인이 방의 상태를 확인하고 난 후 보증금을 내어 주는 경우 간혹 퇴거 당일 보증금을 내어 주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 통보 및 보증금 반환의 일정 협의가 필요합니다.

3. 가전/가구/대형 쓰레기 처분 방법 확인
가지고 가지 않는 가전이나 가구, 대형 쓰레기의 처분은 일반 쓰레기 처분처럼 단순하지 않습니다. 대형 쓰레기 등을 지자체에 수거해 달라고 할 때는 사전 연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지자체에 미리 확인하여 준비합니다.

4. 도시가스의 개통 절차, 사전 예약
전기의 이용 개시 및 명의 등록은 이사 당일 신청도 가능하고, 이사 전 전기 계량기 사진을 찍어 이사 후에도 한국전력에 연락하여 명의 등록 및 정산이 가능하지만, 도시가스는 해당지역 가스회사에 사전 예약을 하여 도시가스 기사님이 방문하셔야 명의 등록 및 도시가스 사용이 가능합니다. (코로나 사태 이후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곳도 있기는 하지만 입주하는 날부터 가스를 사용하려면 입주 3일 전에는 예약을 해야 합니다.
5. 전기의 차단기를 내려놓다
이사 후 옛집의 전기브레이커를 내려두면 누전이나 누전에 따른 화재 등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겨울에 이사할 경우, 전기 차단기를 내려 버리면 급탕기 등이 동결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전에 임대인 측과 확인하고 나서 내리도록 합시다.
각종 주소 변경은 리스트 작성 필수

6. 우편물전송 서비스 신청
이 항목을 게을리 하시면 이사 후 예전 거주지로 우편물이 송부되어 제3자에게 개인정보 누출의 우려 등이 있고, 다시 찾으러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합니다. 사전에 미리 신청할 수도 있지만 주민센터에서 주소 이전 시에 주소 이전 신청서 뒷장에 사인을 한번 더 함으로써 간편하게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7. 각종 보험사, 카드사, 은행 등 주소 변경
무료 우편물 전송 서비스는 3개월 후 만료 됩니다. 각종 보험사, 카드사, 은행 등 계약된 회사들의 개인정보 주소 변경을 해두지 않으면 우편물 전송 서비스가 종료된 후에는 중요한 서류 등이 예전 주소로 전송될 수 있습니다. 생명 보험, 상해 보험, 자동차 보험 등 가입되어 있는 보험 및 카드사, 은행 등 변경이 필요한 곳 리스트를 사전에 확인해 둡시다.

8. 주소를 등록하는 인터넷 서비스 주소 변경
통신 판매 사이트(쇼핑몰)나 각종 예약 사이트 등 인터넷상에서 주문하는 서비스의 주소 변경도 필요합니다. 주문했는데 도착하지 않도록 각 홈페이지에서 주소 변경 방법을 확인하세요.
이외에도 필요시 해당 주민센터 위치, 자녀가 있는 경우 전학 등의 절차, 인터넷 회선 해지·개통 등의 절차 등 이사는 미리 준비 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이사 전 이사 후에 해야 할 일을 써서 서두르지 말고 리스트를 작성해 꼼꼼히 체크하시면 큰 혼란 없이 이사를 잘 마무리 할 수 있습니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망케이크 표절 논란 - 케잌 아일랜드 레시피 표절 (3) | 2021.01.07 |
---|---|
원룸 겨울철 난방비 절약 꿀팁 (0) | 2021.01.06 |
달큰한 겨울무로 새콤달콤 치킨무 만들기 (0) | 2021.01.03 |
'하늘을 나는 자동차' 플라잉카 실현에 박차를 가하는 일본 (2) | 2021.01.02 |
새해 다짐 - 일주일 식단표 짜기 (0) | 2021.01.01 |
댓글